Inspiring Future, Grand Challenge

Search

QUICK
MENU

scroll top  
Close
Search
 
  • home
  • 대학원과정
  • 교육과정

대학원과정

교육과정

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자기
학습
시간
영역 학위 이수
학년
비고 언어 개설
여부
CHS7004 Python활용인문사회과학논문쓰기 3 6 전공 학사/석사/박사 도전학기(대학원) - No
논문을 쓰기 위한 과목으로 인문사회과학 영역의 연구를 위하여 빅데이터를 활용한 논문을 쓰기 위한 과정이다. 기본적으로 논문 쓰기 방법에 대한 학습을 하며, 논문을 위한 연구 방법론으로 프로그래밍 처리를 학습한다. 프로그래밍 언어 가운데 인문사회과학 관련 자료를 처리하기 가장 적합하며, 자료 시각화 기능이 뛰어난 파이선을 활용하여 논문 쓰는 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학습한다. 논문 작성을 위한 기본 적인 연구 방법론 및 논문 내용 구성에 대한 이론 강의가 우선 진행된다. 논문 작성을 위하여 주제 선정 및 토론이 진행된다. 주제가 선정되면 관련 연구 정리 방법에 대한 강의가 진행된다. 다음 과정으로 연구 방법론에 따라 필요한 내용 작성에 대한 학습이 진행된다. 제언 및 참고 문헌 정리 방법에 대하여 학습하여 이론적 접근법을 완성한다. 파이선 활용을 통한 자료 분석을 위하여 기본적인 파이선 문법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며, 입력 자료 처리를 위한 실습을 진행한다. 각 연구 분야에서 필요한 파이선 패키지 설치 방법 및 활용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 후, 실제 데이터 처리에 대한 실습이 진행된다. 공동 연구 진행을 대비하여 쥬피터 노트북 (jupyter notebook) 사용법을 기본 환경으로 설정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자료 가시화를 위한 matplolib 활용법을 학습하며,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pandas 활용을 학습한다. 이 과목의 목적은 각 전공 분야에 필요한 연구를 파이선 언어로 프로그래밍 구현을 실행하여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정 기간 내에 논문 1편 완성을 목표로 한다.
COV7001 논문작성법및연구윤리1 1 2 전공 석사/박사 일반대학원 성균융합원 Yes
1) 논문작성의 전반을 소개하고, 논문작성의 필수적인 교양을 습득한다. 2) 연구 결과를 영어로 표현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공부함으로써 향후 국내외학술지에 효율적으로 논문을 개제할 수 있도록 한다. 3) 연구 윤리를 습득한다.
DKL2022 국어의단어와형태 3 6 전공 학사 2-3 국어국문학과 Yes
이 과목은 국어 문법의 기초가 되는 과목으로, 국어의 문법 단위를 이해하고 형태소 및 단어의 기본 개념과 유형에 대해 학습한다. 형태론의 정의와 범위, 형태론 연구의 목표 등을 바탕으로 단어의 구조 분석과 단어의 형성 과정을 구별하여 이해한다. 나아가 다양한 신어 형성 예를 통해 국어 단어가 어떻게 새롭게 만들어지는지 그 조어 과정을 생각해 본다.
DKL5173 국어의단어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국어국문학과 - No
이 과목은 국어 문법의 기반이 되는 과목으로 형태론의 기본 개념과 이론을 학습한다. 형태론에 관한 이론서 및 이 분야의 쟁점이 되는 논문을 읽고 토의한다. 국어 형태론에 대한 새로운 관점 및 방법론을 이해하고 연구한다.
DKL5174 국어의어휘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국어국문학과 - No
이 과목은 어휘론에 대한 기본 개념과 이론을 학습한다. 어휘론에 관한 이론서 및 어휘론에서 쟁점이 되는 논문을 읽고 토의한다. 국어 어휘론에 대한 새로운 관점 및 방법론을 이해하고 연구한다.
DKL5177 국어의의미연구 3 6 전공 석사/박사 1-4 국어국문학과 - No
본 과목은 한국어의 의미 현상을 발견하고 이를 분석하는 방법을 탐구함으로써 의미론의 목적, 방법, 의의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의미론은 단어 의미와 문장 의미 나아가 맥락에 의한 발화 해석에 대한 연구로서, 본 과목을 통해 의미 해석에 참여하는 언어의 층위를 단어, 문장, 발화로 구별하여 어휘의미론, 문장의미론, 화용론을 중심으로 한국어의 의미 구조와 특성을 익힌다.
KLE5001 한국어문법론 3 6 전공 석사/박사 Yes
이 과목에서는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한국어 문법의 체계와 원리가 무엇인지를 논의하고 학습한다. 한국어 교원으로서 지녀야 할 문법 지식과 응용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이 과목의 첫 번째 목표라면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 및 학습에서 필요한 문법적 지식과 문제 해결 능력을 체계화하는 것이 본 교과의 최종 목표라고 할 수 있다.
KLE5002 한국어어문규범 3 6 전공 석사/박사 Yes
본 과목은 실제 한국어의 사용의 기준이 되는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의 원리와 내용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한국어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어문규범을 교육하는 방법론과 내용을 탐구한다. 본 과목의 목표는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한국어어문규범의 원리와 이론, 응용 방법을 이해하고 탐구한다. 둘째, 어문 규범 제정의 배경 및 원리, 적용 방식 등을 이해하고 한국어교육 현장에 적용하는 경험을 통해 어문 규범의 적용 능력을 함양한다.
KLE5003 한국어음운론 3 6 전공 석사/박사 Yes
본 과목은 한국의 음성학과 음운론에 대한 기초 지식과 응용 방법을 체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어의 음운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과 적용 능력을 내면화하는 한편, 습득한 지식을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재구조화하고 실제로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KLE5004 한국어의미론 3 6 전공 석사/박사 - No
본 과목은 한국어 의미론의 관련 이론과 지식을 습득하고 생활에서 나타나는 의미 현상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의미 현상에 담겨 있는 문화, 사고, 역사 등을 이해하고 응용하는 역량을 함양하고 그러한 지식과 능력을 바탕으로, 국어 어휘의 특성 및 통시적 변화, 관용 표현, 속담의 의미와 기능 등의 세부 항목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KLE5005 대조언어학 3 6 전공 석사/박사 Yes
이 과목은 대조언어학의 기본 원리와 개념, 방법론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응용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한국어와 대조되는 주요 언어와의 특성을 파악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써 한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것이다. 이어 중국어, 영어 등의 언어와 한국어의 주요 내용을 실제 대조함으로써 한국어 교육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하고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KLE5007 한국어교육개론 3 6 전공 석사/박사 Yes
이 과목은 한국어 교육의 원리와 목표, 방향, 개념 등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등의 지식과 원리를 습득하고 응용하여 한국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의 교육적 원리 및 교육 이론을 이해하고 실제 수업에 응용한다.
KLE5008 한국어교재론 3 6 전공 석사/박사 Yes
이 과목은 한국어 교재의 개념과 구성, 원리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기존의 다양한 한국어 교재를 비교, 분석하여 교재와 관련된 지식과 능력을 확장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에 맞는 교재와 부교재를 직접 개발하고, 목적과 기능에 따른 교재의 유형과 이론 에 대해 비교하고 토의한다.
KLE5009 한국어문법교육론 3 6 전공 석사/박사 Yes
이 과목은 한국어 문법의 지식과 원리를 이해하고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어 문법의 지식과 구조, 체계를 한국어 교육에 활용하는 능력과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문법의 오류 유형과 말뭉치를 분석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알맞은 한국어 문법 모형과 교육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KLE5010 한국어발음교육론 3 6 전공 석사/박사 Yes
이 과목은 외국어교육으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에 필요한 지식과 원리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한국어의 음운론적 지식을 재구조화하여, 한국어 발음 교육의 능력과 역량을 함양한다. 또 언어권별 발음 교육의 차이를 이해함으로써,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응용하는 능력을 개발여 실제 한국어 교육에서 필요한 발음의 지식과 경험을 키우도록 지도한다.
KLE5011 한국어어휘교육론 3 6 전공 석사/박사 한,한 Yes
한국어 어휘의 구조와 의미, 특성을 이해하여 한국어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어휘 교육의 능력과 방법론을 계발한다. 특히 학습자의 단계별 학습 기준에 맞는 단계별 어휘를 선정하여 한국어 능력에 맞는 어휘 교육의 방법과 이해 분석 능력 등을 기르는 등 학습자 맞춤형 교육의 방안을 모색한다. 우선 한국어 어휘에 대한 지식과 분석 능력을 함양하며, 학습자의 수준과 단계에 맞는 맞춤형 교육 내용과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국어학, 국어교육 등의 어휘 교육론과 비교 연계하여 학습한다.
KLE5012 한국어이해교육법 3 6 전공 석사/박사 Yes
이 과목은 한국어 읽기 및 듣기 교육의 지식과 원리를 습득하고 응용함으로써 수업에 적용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제 듣기와 읽기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자를 지도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설계하고 수업 시간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한다.
KLE5013 한국어평가론 3 6 전공 석사/박사 Yes
이 과목은 평가의 이론을 이해하고 실제로 적용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평가의 유형과 모형을 설계하고 분석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 시간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구체적인 평가 도구 및 방법론을 개발하고자 한다.
KLE5014 한국어표현교육법 3 6 전공 석사/박사 한,한 Yes
이 과목은 한국어 표현 교육의 지식을 습득하고 원리와 구조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한국어 쓰기 및 말하기 교육의 목표를 이해하고 응용하여 수업을 지도하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말하기와 쓰기 교육의 구체적인 교육 및 평가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KLE5015 한국고전문학의이해 3 6 전공 석사/박사 한,한 Yes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한국문화에 대한 기본적 이해가 필요하다. 이 과목은 원시시대부터 애국계몽기까지 한국문학의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을 고찰함으로써 한국고전문학의 전개 양상과 원리를 이해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시대의 변천에 따른 문학적 경향의 변모 양상, 장르와 장르 사이의 계기적 변모 양상, 작가와 독자층의 변모에 따른 문학 사조의 변이 양상 등을 살펴본다. 또한 한국고전문학의 시대적 변모가 당대의 사회․문화적 상황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KLE5016 한국현대문학의이해 3 6 전공 석사/박사 Yes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한국문화에 대한 기본적 이해가 필요하다. 이 과목은 한국현대문학사를 검토하고 한국현대문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개화기 이후 한국문학의 전개과정을 시대별, 장르별로 고찰함으로써 한국문학 예술가들의 언어적, 사상적 실천이 개인과 사회 그리고 국가의 경계에 있어서 어떻게 표상되고 구체화되었는가를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본다. 또한 다양한 작품들을 분석하면서 언어와 문학에 대한 사고의 틀을 더욱 깊게 형성할 수 있다.
KLE5017 한국어교육실습 3 6 전공 석사/박사 Yes
이 과목은 한국어 수업 현장에 직접 참여하여, 수업 운영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고 수업 운영의 능력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한국어 수업을 직접 설계하고 수행하는 이론적, 실제적 지식과 경험을 축적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사가 수행해야 할 수업 준비와 실제 수업, 평가 등의 지식을 이해하고, 수업 현장에서 부딪히는 문제의 해결 능력을 함양하여 한국어 교사로서의 자질을 함양할 예정이다.
KLE5018 한국어기능교육론 3 6 전공 석사/박사 - No
논문제출자격시험 과목 접수를 위해 임의로 입력한 자료. 정식 개설과목은 아니므로 정규개설 불필요.
KLE5019 한국전통문화와현대문화의이해 3 6 전공 석사/박사 Yes
한국의 전통문화와 현대문화에 대해 살펴보고 이것을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교육할 수 있는지를 탐구해 본다. 한국의 고유한 물질적, 정신적 측면의 문화 현상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교육해야 할 문화 교육의 유용한 내용을 구성하여 이를 한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