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수동정] 중어중문학과 변형우 교수 『논어어법사전』(論語語法詞典) 출간
- 중어중문학과 변형우 교수가 2023년 9월 중국 출판사인 상무인서관(商務印書館)에서 『논어어법사전』(論語語法詞典)을 출간했다. 본 사전은 『論語』의 어휘 의미와 용법을 결합한 방식을 채택하여 어휘와 문법을 전반적으로 분석하였다. 『論語』의 모든 단음절 단어와 복음절 단어의 의미를 귀납하고 각 단어의 용법과 단어의 통사구조에서의 역할, 단어의 결합능력, 단어의미와 문법기능의 관계 등을 고찰하면서 층위분석법을 활용하여 각 단어마다의 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을 하고 있다. 또한 『論語』 전체의 각 한자 및 단어와 단어 의미에 따라 『論語』 단음절 단어 1593개와 이음절 단어317개, 3음절 단어 70개를 수록하였으며, 16,000여개의 항목에 대해서 어법분석을 하였다. 이에 더하여 『論語』와 先秦시기 문헌(13경과 제자백가 문헌의 예문) 20,000여개의 참고 예문을 포함하고 있다. 본 사전의 학술적 가치는 『論語』에 대한 기존의 주석에서 탈피하여 역대 훈고학적 성과를 참고하고 고증학적 방식을 취하면서, 『論語』자체의 텍스트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 및 선진(先秦)시기 당시의 언어상황을 고려한 역사언어학적 방법을 취하여 저술한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기존의 『論語』에 대한 주석서와는 차별성이 있으며, 중국의 최근 학술연구동향에 따른 점에서도 그 가치를 가늠할 수 있다. 이 책을 출판한 상무인서관(商務印書館. 영문명칭: The Commercial Press,약칭CP)은 중국출판사 중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된 출판사이다. 1897년 상해(上海)에서 건립되었고, 1954년에 베이징으로 옮겼으며, 베이징대학과 함께 “中國近代文化的雙子星”(중국근대문화의 쌍둥이 자리별)이라고 불린다.
-
- 작성일 2023-11-02
- 조회수 398
-
- [동문] 문과대학, 2023학년도 단허(端虛) 박기화 장학금 수여식 개최
- 문과대학, 2023학년도 단허(端虛) 박기화 장학금 수여식 개최
-
- 작성일 2023-08-10
- 조회수 291
-
- 2023학년도 문헌정보학과 제이큐브데이터장학금 전달식 개최
- 2023학년도 문헌정보학과 제이큐브데이터장학금 전달식 개최 <사진 왼쪽부터 (위) 김영식 학과장, 장혜리, 김규리, 박고은, 김조은, 안혜리 학생, (아래) 박유민, 홍지윤 학생, 고영만 교수, 김종국 동문, 사문기 학생> 문과대학 문헌정보학과는 6월 1일(목)에 2023학년도 제이큐브데이터장학금 전달식을 가졌다. 2023학년도 장학생은 문헌정보학과 강세현(20), 김규리(20), 김조은(19), 박고은(20), 박유민(20), 사문기(22), 안혜리(20), 유종석(18), 장욱(20), 장혜리(20) 이상 10명이며, 이번에는 학생들이 직접 제이큐브데이터(주)를 방문하여 회사를 소개를 듣고 장학금 전달식 및 점심식사를 함께하였다. 이 날 행사에는 김종국 동문(문정 90), 김영식 학과장, 고영만 교수, 홍지윤 학생 및 제이큐브데이터(주) 관계자들이 참여하여 장학생들을 축하하였다. 제이큐브데이터장학금은 제이큐브데이터(주) 대표인 김종국 동문(문정 90)이 출연한 장학기금으로 매 학년도 문헌정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급하고 있다.
-
- 작성일 2023-07-28
- 조회수 1033
-
- [일반] 제15회 문과대학 휴먼키움 개최
- 제15회 문과대학 휴먼키움 개최 문과대학(학장 안대회 교수)은 지난 6월 2일(금) 인문사회과학캠퍼스 퇴계인문관 시습재에서 제15회 휴먼키움을 개최하였다. 제15회 휴먼키움에서는 한문학과 김용태 교수가 ‘동아시아는 한문을 어떻게 활용해 왔는가? - 한문과 동아시아 민족어의 관계’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다. 문과대학은 2022학년도 1학기부터 학문적 주제에 대해 격의 없이 논의할 수 있는 자리인 ‘휴먼키움’(Humanities 키움 Cultivation, Growth)을 개최하고 있다. 2~3주 간격으로 금요일 12시에 다양한 주제로 개최되며 지금까지 총 15회 진행되었다. 제15회 휴먼키움은 안대회 문과대학장을 비롯하여 문과대학 소속 교원뿐만 아니라 권영욱 성균융합원장이 또한 참석하여 학문적 교류와 친목을 도모하였다. 안대회 문과대학장은 행사 전 인사말에서 “휴먼키움에 많은 관심을 보여준 교수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2학기에는 휴먼키움 연사를 보다 다양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과대학은 휴먼키움이 교원 간 소통 가능한 학문공동체로서 교류의 범위를 넓히고, 이를 통해 다른 학문 분야에 대한 이해와 통찰을 얻을 수 있는 유익한 행사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또한 단과대학 구성원들의 학제적 교류 증진을 위해 문과대학뿐만 아니라 타 학문단위 교원들의 관심과 참여를 역시 적극 독려 중이다. 제15회를 마지막으로 1학기에 예정되었던 휴먼키움은 모두 성황리에 마무리되었으며, 다음 휴먼키움은 2학기에 개최될 예정이다. 2학기에는 문과대학 각 학과의 발표자들을 사전에 모집하여, 1학기 보다 더욱 다양하고 풍성한 학문 교류의 장을 마련할 준비를 하고 있다.
-
- 작성일 2023-06-14
- 조회수 1242
-
- 사학과 김민철 교수, '누가 민주주의를 두려워 하는가' 자서 발간
- 사학과 김민철 교수, '누가 민주주의를 두려워 하는가' 자서 발간
-
- 작성일 2023-06-05
- 조회수 376
-
- [동문] 영어영문학과 권보람 졸업생 미국대학 전임교원 임용
- 영어영문학과 권보람 졸업생 미국대학 전임교원 임용
-
- 작성일 2023-05-18
- 조회수 425
-
- [일반] 2023학년도 문과대학 첫 휴먼키움 개최(제12회, 제13회)
- 2023학년도 문과대학 첫 휴먼키움 개최(제12회, 제13회) 문과대학(학장 안대회 교수)은 2023학년도 첫 휴먼키움을 지난 3월 31일(금)<제12회>과 4월 21일(금)<제13회>에 퇴계인문관 시습제와 명륜서원에서 개최하였다. 제12회 휴먼키움에서는 러시아어문학과 권경준 교수가 연사로 “동어반복은 동어반복이다”라는 주제로 그리고 제13회에서는 『독립운동 열전 1~2』의 저자인 사학과 임경석 교수가 "『독립운동 열전』”의 안팎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다. 안대회 문과대학장은 양일 행사의 인사말에서 휴먼키움이 문과대학을 넘어 모든 다양한 학문단위의 연구자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자리로 확대되기를 희망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2023학년도에는 단과대학 구성원들의 학제적 교류 증진을 위해 문과대학 뿐만 아니라, 타 학문단위 교원들의 관심과 참여를 적극 독려하겠다고 하였다. 또한 휴먼키움이 교원간의 소통 가능한 학문공동체로서 교류의 범위를 넓히고, 이를 통해 다른 학문 분야에 대한 이해와 통찰을 얻을 수 있는 유익한 행사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하였다. 양일 행사에는 안대회 문과대학장을 비롯하여 문과대학의 10여개 학과 교원뿐만 아니라 권영욱 성균융합원장도 참석하였으며, 학문적 교류와 친목을 도모하는 값진 배움과 논의의 시간을 가졌다. 문과대학은 2022학년도 1학기부터 학문공동체 안에 격의 없이 학문적 주제를 논의할 수 있는 자리인 "휴먼키움"(Humanities 키움 Cultivation, Growth)을 지속적으로 개최해왔다. 휴먼키움은 2~3주 간격으로 금요일 12:00에 퇴계인문관 강의실에서 다양한 주제로 개최되며, 2022학년도에는 총 11회 진행되었다. 제14회 휴먼키움은 5월 12일(금), 퇴계인문관 31310 강의실(시습제)에서 철학과 설민 교수가 준비한 주제를 바탕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 2022학년도 문과대학 휴먼키움 개최 현황 회차 일자 발제자 학과 주제 1 03.11.(금) 권경준 러시아어문 뭐라고? 김밥을 그냥 준다고?! 진짜? – 불신 반응 구문(Incredulity Response Construction) 불신 2 03.25.(금) 정우택 국어국문 (저서)「시인의 발견, 윤동주」 3 04.08.(금) 안대회 한문 (저서)「채근담」 4 04.22.(금) 하원수 사학과 (저서)「과거제도 형성사」 5 05.20.(금) 홍성호 프랑스어문 (저서)「장(場) 이론과 비교문화」 6 09.02.(금) 김영식 문헌정보 연구데이터 공유와 재사용 7 09.16.(금) 최자명 사학 전문직의 젠더: 도쿄제국대학 부속병원으로 본 근대 일본 의사와 간호사의 성별위계 8 09.30.(금) 이호성 독어독문 “공론장”은 올바른 번역어일까? – 독일어 Öffentlichkeit의 번역어에 관하여 9 10.14.(금) 임태훈 국어국문 코인적 상상력과 생존자 되기 - 2020년대 한국 웹 소설은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는가? 10 10.28.(금) 장유승 한문 한국의 작명 관습 11 11.11.(금) 이지은 영어영문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바라본 빅토리안적 인간상(Victorian Humanity in Colonial Korea, Where Asians Did Not See Themselves as the Other) ※ 휴먼키움 참석 문의: 유학/문과대학행정실(02-760-0914, 김문호 계장)
-
- 작성일 2023-04-28
- 조회수 1620
-
-
-
- 2022 영어영문학과 총동문회 송년회 개최
- 2022 영어영문학과 총동문회 송년회 개최
-
- 작성일 2022-12-19
- 조회수 868